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‘팅커벨’이란 예쁜 별명을 가졌지만 사람에겐 ‘좀비’처럼 지긋지긋합니다.<br> <br> 동양 하루살이가 올해도 남양주 쪽을 습격했습니다.<br><br>이 뉴스 전해드린 지가 벌써 10년이 넘어가는데 왜 퇴치하지 못하는 걸까요? <br> <br> 현장카메라 신선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저는 지금 한강변에 나와있습니다. 곳곳에 동양하루살이가 날아다니고 있는데요. 이 날벌레때문에 주민들의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.<br>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벌레 떼가 간판을 뒤덮었습니다. <br> <br>편의점 앞 매대는 물건 대신 벌레 사체가 가득합니다. <br> <br>담벼락에도, 가로등 아래에도 떼를 지어 날아다닙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난리도 아니야." <br> <br>매년 초여름때 출몰하는 동양하루살이입니다. <br> <br>다 자라면 크기가 7cm에 달하고, 몸집에 비해 날개가 커 동화 피터팬에 등장하는 요정 팅커벨로도 불립니다. <br> <br>하지만, 이름과는 달리 주민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입니다. <br> <br>[이정아 / 경기 남양주시] <br>"지나가다 서너 개씩 붙으니까 너무 징그럽게 생겼잖아요. 그래서 너무 힘들어요, 징그러워서." <br> <br>특히 저녁때가 되면 불빛이 있는 곳으로 몰려들어 일대가 몸살을 앓습니다. <br><br>불빛을 보고 몰려온 동양하루살이들이 버스정류장도 점령했습니다.<br> <br>동양하루살이는 입이 퇴화돼 사람을 물지 않습니다. <br> <br>수질이 깨끗한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병을 옮기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, 몰려다니면 보기가 흉해 시민들이 모두 피합니다. <br> <br>주변 상인들도 울상입니다. <br> <br>[이해숙 / 식당 업주] <br>"된장찌개에 팅커벨이 폭 빠진거예요. <br>손님들도 별로 안 나오려고 하죠. 여러 가지로 힘들어요." <br> <br>[최필규 / 상인] <br>"오기 시작하면 다 끄고 퇴근해야 됩니다. 있어봤자 의미가 없으니까. 2시간이상 청소해야 되니까 불 끄고 가는 게 더 편한 거죠." <br> <br>손님들이 머무는 탁자와 의자를 동양하루살이가 가득 메웠습니다. <br> <br>관광객들이 놀러오고도 바깥 공기 한번 쐬는 게 고역일 정도입니다. <br> <br>[박경호 / 펜션 운영 업주] <br>"심할 때는 진짜 저희가 이 밑을 걸어 다니면 터지는 소리까지 나요. 탁탁탁탁 소리까지 날 정도니깐 엄청 많죠." <br> <br>전문가들은 기후변화와 인공조명을 동양하루살이가 많아진 원인으로 지목합니다. <br> <br>[김동건 / 삼육대 창의융복합학문학부 교수] <br>"가뭄에 의해서 하류지역에 큰비가 없어서 개체 수가 많아지는 경향도 있었고. 점점 사람들이 강변 지역에서 활동을 많이 하고 인공조명들이 많아지니까." <br> <br>문제는 마땅한 퇴치 방법이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한강 주변이 상수원 보호구역이라 살충제를 쓸 수 없습니다. <br> <br>물대포를 쏘고 끈끈이 트랩 설치에 하루살이 유충을 잡아먹는 물고기까지 방류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정윤영 / 경기 남양주보건소 주무관] <br>"자연환경이 바뀌지 않는 한 걔네들이 계속 많이 나올 텐데 저희는 최선을 다하고는 있는데 체감효과가 많이 크질 않아서." <br> <br>무더운 여름에도 맘놓고 창문 한번 열지 못하는 불편이 이어지는 상황. <br> <br>선선해지는 가을을 기다리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신선미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fresh@donga.com